🌿 억대뷰 | 당신의 하루에 닿을 작은 문장을 전합니다.
📚 글목록 💌 브런치 보기
본문 바로가기
‘장애 복지’·‘다문화 가족’

장애인연금 vs 기초생활보장금,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드려요

by 억대뷰 2025. 7. 6.

 

장애인연금 vs 기초생활보장금,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드려요
기초생활 보장금과 장애인 연금의 차이점 정리해드려요.

1. 왜 헷갈릴까?

"장애인연금 받으면 기초생활보장 못 받는다면서요?" "두 개 다 되는 줄 알았는데, 왜 하나만 지급되나요?"

복지 행정 상담 현장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입니다. 두 제도 모두 ‘소득이 낮은 장애인을 위한 지원’이지만,

✔️ 지급 조건 ✔️ 목적 ✔️ 금액 ✔️ 중복 여부 등에서 아주 미묘한 차이가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그런 헷갈림을 시원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억대뷰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합니다.

 

2. 장애인연금이란?

✔️ 장애등급 1급 또는 2급 (중증장애인)

✔️ 만 18세 이상

✔️ 본인+배우자의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일 때

 

국가에서 매월 현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예요.

👉 목적으로는 ‘기초생활 유지’ +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 보전’입니다.

📌 구성: - 기본급여 (월 최대 약 40만 원 전후) - 부가급여 (기초수급자 여부에 따라 차등)

3. 기초생활보장금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 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매우 낮고

✔️ 재산도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주거·의료·교육·생계비를 국가가 **생활 전체 차원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장애인 여부와는 별도로, 누구든 기준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어요.

특징은 ‘소득인정액 산정’이 매우 정밀하고, 각종 다른 급여(예: 장애인연금, 유족연금 등)가 **소득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중복 수급 시 계산이 복잡**해져요.

 

4. 중복 수급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 ‘중복 수급’은 가능합니다. ❗단, 그만큼 **감액 조정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 장애인연금을 받고 있다면, -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산정 시 - ‘그만큼의 소득’으로 간주되어 생계급여가 깎일 수 있어요.

또한, 기초수급자로 지정되면 장애인연금 내의 ‘부가급여’가 늘어나는 장점도 있습니다. 즉, **둘 다 가능하지만, 합쳐서 일정 수준을 넘기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5. 간단 비교 정리표

구분 장애인연금 기초생활보장금
대상 중증 장애인 저소득 국민 전체
기준 소득 + 장애등급 소득 + 재산
중복 수급 가능 (감액 조정) 가능 (감액 반영)
장점 부가급여 별도 지급 생계·주거·의료 등 통합 지원

마무리

복지제도는 어렵지만, 한 번 정확히 이해해 두면 큰 힘이 됩니다. 억대뷰는 앞으로도 쉽게 풀어낸 복지정보로 여러분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글을 계속 전할게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억대뷰 
따뜻한 정보, 따뜻한 문장. 억대뷰는 당신의 권리를 이해하기 쉽게 전합니다.
티스토리 억대뷰 | 네이버 억대뷰 | 브런치 억대뷰
당신의 복지를 푸르게 🌱